법정 (승려)
법정(法頂, 1932년 10월 8일~2010년 3월 11일)은 대한민국의 불교 승려, 수필가이다. 무소유의 정신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많은 저서를 통해 자신의 철학을 널리 알려왔다. 1954년에 승려 효봉의 제자로 출가하였고 970년대 후반에 송광사 뒷산에 손수 불일암을 지어 살았다. 2010년 3월 11일에 서울 성북구 성북2동에 위치한 길상사에서 폐암으로 인해 향년 78세로 사망(입적)하였다.
(생애) 1932년 10월 8일에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에는 목포시에서 지냈다. 목포상업고등학교(현 전남제일고등학교)를 거쳐 전남대학교 상대에 진학했다. 그는 당시에 일어난 한국 전쟁을 겪으며 인간에 존재에 대해 의문을 가지게 되었고, 대학교 3학년때인 1954년에 출가를 결심하게 된다. 그리고 오대산으로 떠나기로 했던 그는 눈길로 인해 차가 막혀 당시 서울 안국동에 있던 효봉 스님을 만나게 된다. 효봉 스님과 대화를 나눈 그는 그 자리에서 머리를 깎고 행자 생활을 시작했다. 그리고 그는 바로 다음 해에 사미계를 받은 후 지리산 쌍계사에서 정진했다. 1959년 3월에는 양산 통도사에서 자운 율사를 계사로 비구계를 받았으며, 1959년 4월에는 해인사 전문강원에서 명봉 스님을 강주로 대교과를 졸업했다.
(종교간 화합)1997년 12월 14일에 서울 성북동의 길상사 개원법회에 김수환 추기경이 참석하여 축하해 주자, 이에 대한 답례로 1998년 2월 24일에 명동 성당을 방문하여 특별 강연을 가져 종교간의 화합을 보여주었다.[2]
(대표 저서) 《무소유》 《영혼의 모음》《서 있는 사람들》《말과 침묵》《산방한담》 《텅 빈 충만》《물 소리 바람 소리》 《버리고 떠나기》《인도 기행》<산에는 꽃이 피네》 《그물에 걸지 않는 바람처럼》《오두막 편지》<새들이 떠나간 숲은 적막하다>
<영원한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이 세상에서 영원한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어떤 어려운 일도 어떤 즐거운 일도 영원하지 않다.
모두 한 때이다. 한 생애를 통해서 어려움만 지속된다면 누가 감내하겠는가.
다 도중에 하차하고 말 것이다.
모든 것이 한때이다. 좋은 일도 그렇다.
좋은 일도 늘 지속되지는 않는다. 그러면 사람이 오만해진다.
어려운 때일수록 낙천적인 인생관을 가져야 한다.
덜 가지고도 더 많이 존재할 수 있어야 한다.
이전에는 무심히 관심 갖지 않던 인간 관계도 더욱 살뜰히 챙겨야 한다.
더 검소하고 작은 것으로써 기쁨을 느껴야 한다.
우리 인생에서 참으로 소중한 것은 어떤 사회적인 지위나 신분, 소유물이 아니다.
우리들 자신이 누구인지를 아는 일이다.
-무소유의 삶과 침묵 中에서-
노인전문정신과 전문
'잡동사니 > 참글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심보감(明心報鑑)-천명편(天命篇) (0) | 2010.06.23 |
---|---|
명심보감(明心寶鑑)-계선편(繼善篇) (0) | 2010.03.23 |
삶에 도움이 되는 좋은 글 모음 (0) | 2010.01.28 |
깨진 유리창의 법칙 (0) | 2006.07.11 |
나이가 들며 지켜야 할 것들. (0) | 2005.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