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쭉, 산철쭉, 영산홍의 차이점 ▣
아래 동영상 꾹(신유-잠자는 공주)
<황매산 철쭉>
<영산홍(映山紅)>
영산홍은 원산지가 일본이며 우리나라에 들어 온지도 오래 되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철쭉, 영산홍, 일본철쭉이 서로 뒤섞여 여러 번 기록되어 있다. 영산홍이란 이름은 성종 2년(1470)에 처음 등장한다. 연산홍이라 부르는 것은 잘못된 발음에서 기인되었다고 본다.
영산홍은 일본에서 자라는 철쭉의 한 종류인 사쓰끼철쭉을 개량한 철쭉의 원예품종 전체를 일컫는다. 또 이들을 서로 교배하여 새로 만든 품종도 수백종이 넘어 일일이 특징을 말하기도 어렵고 복잡하다. 한마디로 영산홍이란 일본 철쭉을 개량한 일본 산철쭉 무리 를 말한다.
영산홍의 시조가 된 사쓰끼철쭉은 우리나라 산철쭉과 같이 일본 각지의 낮은 산지나 개울옆 바위틈 에 많이 자란다. 깔때기 모양으로 위가 다섯 개로 갈라져 있고, 붉은색이 기본이나 개량하면서 분홍에서 흰색까지 여러 색이 있다. 영산홍의 일부는 오래전에 들어온 원종 사쓰끼철쭉과 우리나라 산철쭉이 교배되어 생긴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꽃이 붉은 것은 영산홍, 보라색인 것은 자산홍(紫山紅)이라 부르기도 한다.
영산홍이 본격적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일제강점기와 광복 이후다. 지금은 각종 정원수 중에 가장 많이 심고 있는 꽃이 되었다. 영산홍은 꽃, 잎, 생김새까지 우리나라 산철쭉과 거의 비슷하다.
영산홍은 산철쭉보다 키가 작고 잎도 작으나 가장 큰 차이점은 영산홍은 상록이거나 반 상록인 반면 산철쭉은 완전한 낙엽교목이며. 철쭉은 대부분 꽃수술이 9~11개로 많고 영산홍은 6~7개로 적으며, 철쭉에 비교하여 영산홍은 키가 매우 적은 특징이 있다. 영산홍은 우리나라 및 일본 산철쭉 등 수많은 철쭉 무리들이 교배하여 서로의 형질이 뒤섞이다 보니 구분하기가 매우 어렵다.
<황매산 철쭉>
|
철 쭉 |
진달래 |
||
철쭉 |
산철쭉 |
영산홍(왜철쭉) |
||
잎의 모양 |
주걱형 |
긴 타원형 |
철쭉보다 작은 긴 타원형 |
산철쭉 보다 넓은 긴 타원형 |
꽃이 달리는 송이 |
한 가지 끝에 3~7송이씩 핌 |
한 가지 끝에 2~3송이씩 핌 |
한 가지에 한 송이씩 핌 |
보통 한 가지 끝에 한 송이씩 달리나 가끔 2~5개씩도 달림 |
겨 울 눈 |
가지 끝에 한 개씩 나오나 잎과 함께 있지 않음 |
가지 끝에 한 개씩 나오며 잎으로 싸여 있음 |
겨울에도 잎이 있음 |
가지 끝에 여러 개가 모여남 |
사는 장소 |
산에서 자생, 정원수로도 쓰임 |
정원수로 개량됨 |
산에서 자생 |
|
꽃 속의 반점 |
꽃 위쪽 부분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
반점이 있거나 없다 |
반점이 없다 |
|
분 류 |
낙엽관목(큰차이) |
상록관목 |
낙엽관목 |
|
특 징 |
꽃과 잎이 같이 피며, 영산홍은 꽃수술이 대부분 6~7개 내외이며, 쩔쭉은 꽃수술이 9~11개 정도로 많다. |
꽃이 먼저 피고 질때쯤 잎이 나온다 |
||
꽃 받 침 |
끈적끈적하다 |
끈적끈적하지 않다 |
||
꽃의 종류 |
통꽃 |
홑꽃 |
||
개화 시기 |
4월말~5월 |
4월초부터~ |
||
잎 뒷 면 |
털이 있다 |
털이 없다 |
<서리산 철쭉>
'산행.여행 > 산행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주굽이길 1코스~25코스 트레킹지도 (0) | 2021.08.22 |
---|---|
강원도 강원도 걷기 좋은 길 산소(O2)길 70선(選) (0) | 2020.09.20 |
우리나라 걷기 좋은 올레길 둘레길 (0) | 2019.02.09 |
한국의 2000 명산 정보 (0) | 2018.09.01 |
여름에 걷기 좋은 우리나라 계곡(인기순) (0) | 2018.07.17 |